라벨이 아동시설저축지원인 게시물 표시

이재명정부 부동산대책 완전해부,시장반응,실수요자 대응방안전략

이미지
이재명정부 부동산 대책 발표이후  시장반응이 뜨겁다. 실수요자 내집마련 기회마저 막는 결과를 초래 했다. 부자동네 집값잡겠다고 결국 서민들이 피해본다는 반응이 많다. 현금부자들만 집사는 세상으로 변하고 있다. 📌 이재명 정부 첫 부동산 대책, 6.27 가계부채 관리방안…대출 규제 ‘초강수’ 대출 한도 일괄 6억 원 제한, 다주택자 대출 전면 차단 2025년 6월 27일, 금융위원회는 이재명 정부의 첫 번째 부동산 관련 정책 인 '6.27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부동산 시장 과열과 가계부채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초강력 대출 규제 중심의 정책 으로, 실수요자까지 포괄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어 시장에 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 주요 내용 요약 1️⃣ 주택담보대출 한도, 전국 일괄 6억 원 상한제 수도권을 포함한 규제지역 내 모든 주택담보대출 상한선을 6억 원으로 제한 주택 가격과 무관하게 대출액이 6억 원을 넘을 수 없음 생애최초 구입자, 청년층, 고소득자도 예외 없음 2️⃣ 다주택자, 추가 대출 전면 금지 (LTV = 0%) 2주택 이상 보유자 는 추가 주택 구매 시 대출 불가 1주택자가 추가 매입할 경우 , 기존 주택을 6개월 내 처분 조건 미처분 시 대출 원금 즉시 상환 요구 가능 3️⃣ 주택 구입 시 6개월 내 실거주 의무 규제지역 내 모든 주택담보대출에 6개월 내 실거주 조건 부여 이를 위반하면 대출 회수 가능 갭투자 차단이 핵심 목적 4️⃣ 정책모기지(LTV 80%) → 70%로 하향 생애최초, 신혼부부, 청년 대상 정책모기지(디딤돌·보금자리론 등)도 대출비율 축소 대출 한도 자체도 줄어듦(25% 축소) 실수요자들에게 직격탄 5️⃣ 대출 만기 단축 및 신용대출 규제 강화 주택담보대출 만기 최대 30년으로 단축 (기존 최대 40년 → 30년) 신용대출은 연소득 이내 한도로 제한 (기존 1.5~2배 가능...

저소득아동 자녀 목독마련 저축통장 '디딤씨앗통장' 개설조건및가입방법

이미지
  서울시가   저소득층 아동 자녀의 저축과 자립 을 돕기위하여 종잣돈을 마련할수 있는   '디딤씨앗통장' 이 있는데,올해부터는 가입대상자를 대폭확대 한다. 서울시청 서울시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립 종잣돈 마련을 위한 ‘디딤씨앗통장’ 가입대상을 올해부터 대폭 늘린다고 6일 밝혔는데, 디딤씨앗통장은  만 18세 미만 아동의 통장에 본인 또는 후원자가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지자체가 저축액의 두배에 달하는 보조금(월 최대 10만원)을 적립하는 통장 이다. 아동이나 후원자가  매월 5만원씩 1000만원을 저축하면 지자체가 2000만원을 매칭해 총 3000만원을 받을 수 있다. 서울시자료 아동발달지원계좌 라고도 불리는 디딤씨앗통장은 지난해까지 아동양육시설이나 위탁가정에서 생활하는 보호대상 아동만 가입할 수 있었는데,  올해부터는 기초생활수급가구와 차상위계층 아동도 신규 가입할 수 있다 . 서울시는 올해 디딤씨앗통장 예산으로 지난해(37억원)보다 7.4배 늘린 276억원을 확보했다. 가입자도 지난해 3207명에서 올해 4만4682명으로 13배 늘 것으로 예상한다고 한다. 서울시청 디딤씨앗통장에 저축한 돈은 만 18세 이후 학자금, 취업훈련비용, 주거 마련 등 자립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면 된다. 만 24세 이후로는 용도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서울시는  ‘복지로’ 누리집 ( http://www.bokjiro.go.kr)에서  지난 3일부터 온라인 신청을 받고 있다.  온라인 신청이 어려운 경우 6일부터 주소지 동주민센터에서 방문 신청하면...